미래와희망 산부인과

병원안내Hospital Information

Customer고객센터

062-361-3344

월화수금
AM 08:30 ~ PM 05:00

목토
AM 08:30 ~ PM 12:30
점심시간
AM 12:30 ~ PM 02:00 (목,토는 점심시간 없이 진료)

일요일/공휴일은 휴진,
자세한 휴진일정은 진료안내 참조

공지사항 Notice

공지사항

[전남일보-저출산 대책, 지원금을 늘려야, 본원 인터뷰기사]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미래와희망 작성일2011-01-11 조회4,430회

본문

-금요일날 전화가 와서 인터뷰를 했습니다.
평소 지론이었던 불임치료 전액보조 및 횟수제한 철폐를 말씀드렸지만 그렇게 까지는 실리지 않았네요.
또한 기사중 300만원 넘게 일회당 들어가는 경우는 사실 많지 않으며, 대개는 220만원(본원 평균)정도 생각하면 되니까 올 해부터 인상된 보조금 180만원을 제하면 회당 평균 40만원 정도 부담하시면 시험관아기시술을 해볼 수 있습니다.

울음소리 늘리려면 불임 지원ㆍ보육시설 확대를
출산장려금 말고 다른 대안은 없나 ■ 불임시술 3년만에 쌍둥이 가진 부부 얘기 들어보니
"8쌍 중 1쌍꼴 불임부부 지원 더 효과적
간절히 아이 원해도 시술비 비싸 포기"
입력시간 : 2011. 01.11. 00:00



11350635.jpg"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출산장려금을 지급하는 것보다는 불임시술비와 보육시설을 확충하는 게 더 효과적이라는 지적이다. 전남일보 자료사진
"아이 못낳는 고통은 아무도 몰라요. 적금 통장을 몇 개나 깼는지 몰라요."

올해 39세로 결혼 7년차인 김영임(가명ㆍ나주시)씨는 임신 5개월째다. 다섯달 후면 예쁜 쌍둥이가 태어난다. 이 쌍둥이를 임신하기까지 김씨의 결혼생활은 죽기보다 더 힘든 세월이었다. 아이를 기다리는 시부모, 수천만원씩 드는 병원비로 그의 마음 속은 새까맣게 타버렸다. 그래도 7년 만에 꿈에 그리던 아이를 가지면서, 검은 속은 희망으로 변했다.

대학 다니면서 남편(43)을 만나 연애결혼한 김씨가 불임사실을 알게 된 것은 결혼 2년차 때다. 시부모의 성화와 육아를 빨리 매듭 짓고 직장생활을 계속하려는 생각에 '허니문 베이비'를 원했다. 1년 이상 임신을 시도했지만 아이를 갖지 못하자, 그는 불임을 의심했다.

청명한 가을 하늘이 높기만 하던 2007년 10월, 김씨 부부는 청천벽력의 진단을 받았다. 각종 검사결과 남편이 무정자증으로 아이를 가질 수 없다는 불임통보를 받았다.

이 때부터 김씨 부부는 깊은 고민에 빠졌다. 시댁에 불임사실을 속시원하게 털어놓을 수 없는 것이 가장 안타까웠다. 불임부부라는 손가락질을 받기도 싫었다. 남몰래 속을 태우면서 불임전문병원을 찾았다. 난자와 정자를 수정해 시험관에서 수정란을 2~3일 키워 자궁속에 넣는 체외수정(시험관 아기)을 시도했다. 하지만 번번이 실패로 끝났다.

김씨 부부는 3년간 체외수정을 했다. "이번이 마지막이다"고 다짐한 지난해 10월, 체외수정 일곱번째만에 성공했다. 그것도 쌍둥이를 임신했다. 김씨 부부는 마흔이 돼서 늦둥이 첫 아이를 갖게 된 것이다. 김씨 부부는 병원비 마련을 위해 신혼 때부터 부은 적금 통장 3개를 해약해야 했다.

김씨 부부는 정부의 저출산 대책에서 불임부부가 빠져있다고 성토했다. 아이를 낳고 싶어도 낳지 못하는 불임부부에 대한 지원책이 빈약하다는 것이다. 아이를 낳지 않겠다는 부부에게 출산장려금을 주는 것보다는 불임부부의 시술비를 지원하는 게 더 효과적이라는 지적이다.

국내 불임부부는 8쌍 중 1쌍꼴로 추정된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2005년 가구조사에서 국내 가임부부의 13.5%가 불임으로 고통받고 있다고 발표했다. 만혼과 재혼이 늘어나면서 불임부부 수는 7쌍 중에서 1쌍꼴로 갈수록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이런 추정치로 보면 전남지역의 불임부부는 2만쌍에 달한다. 하지만 실제로 임신을 시도하는 불임부부는 500~600쌍 밖에 되지 않는다. 나머지 대부분은 불임을 체념하거나 방치하고 있는 것이다.

정부의 불임부부 지원책은 언발에 오줌누기식이다. 체외수정때 3번까지 매회당 150만원을 지원하고 있다. 올해부터는 횟수를 4회(100만원)로 1회 더 늘렸다. 불임부부는 최대 550만원의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지난해부터 시작된 인공수정은 1회당 50만원씩 3회까지다. 하지만 이런 지원금으로는 아이를 갖는데 턱없이 부족하다.

350635-0.jpg"
불임전문병원 미래와 희망 산부인과 김동원 원장이 30대 불임 여성과 불임시술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미래와 희망 산부인과 제공

병원마다 차이는 있지만 대개 체외수정 비용은 매회 300만원 이상인 데다 검사비용도 수백만원에 달한다.

불임부부가 임신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평균 2000만~3000만원의 비용이 든다. 임신 후에도 자연임신보다 검사가 2~3배나 더 많아 시술비 못지않게 들어가는 게 현실이다.

경제적 비용 때문에 체외수정을 포기하는 불임부부도 늘고 있다. 정부 지원 횟수만큼 체외수정을 시도하다 임신이 되지 않으면 비용을 이유로 포기한다는 것이다. 또 기약없는 불확실성과의 싸움에서 희망이 보이지 않아 시술의 끈을 놓기 마련이다.

불임부부의 시술 홍보도 되지않아 정부 불임지원금이 매년 줄고 있다. 올해 불임지원액은 300억원으로 2005년 430억원보다 130억원이나 감소했다. 전남도의 사정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불임지원예산으로 7억8000억원을 책정해 1537명에게 지원하려 했지만 지원을 받은 자는 목표치의 절반인 600여 명에 불과했다. 또 매년 불임 부부 2만쌍 가운데 정부 지원혜택자는 500~600명선이다.

불임시술 전문병원인 광주 미래와 희망 병원 김동원 원장은 "불임부부의 대부분은 아이를 간절히 갖고 싶어 병원을 찾아 시술을 한다"며 "하지만 정부 지원액이 한도에 차거나 요즘처럼 경기침체가 계속될 경우 시술하려는 불임부부가 줄어든다"고 말했다.

한현묵 기자 hanshim@jnilbo.com

■ 출산 촉진 '순천 낙안어린이집' 가보니
"아이 마음놓고 맡길수 있어 셋째까지 낳아"
도내 7개 지자체 국공립시설 한곳도 없어


350635-1.jpg"

순천 낙안어린이집은 순천시 농촌지역 첫 국공립 보육시설로 지난 2008년 문을 열었다.낙안읍성 주변에 젊은층 부부가 많아 보육 시설이 절실히 필요하다는 주민 요청에 따라 사업비 4억1400만원을 투입해 311㎡ 규모로 지어졌다.

특히 낙안읍성이나 농업에 종사하는 대다수 맞벌이 부부의 자녀들이 다니고 있는 이 곳은 휴일 보육과 다문화 가정을 위한 맞춤형 보육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이 때문에 50명 정원이 현재 60명으로 정원이 늘었지만, 이마저도 차는 바람에 뒤늦게 찾아온 10여 가구의 자녀들을 모두 돌려보낼 정도로 인기가 높다.

대부분이 맞벌이 부부나 농업인 부부의 자녀들인 탓에 농한기인 겨울에도 정규 교육이 끝나는 오후 4시에서 3시간이 지난 7시가 넘도록 남아있는 아이들이 10여 명에 이르고 있다. 여름철에는 이숫자가 15명까지 늘어난단다.

특히 설날과 추석을 제외하고는 일요일이나 공휴일에도 운영하는 휴일 보육은 농업인 부부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휴일이 따로 없이 농사일을 해야 하는 부부들이 마음놓고 아이들을 맡길 수 있는 곳이 이곳이다 .

실제로 지난 9일 찾은 이곳은 일요일인데도 불구하고 2살짜리에서부터 6살짜리 아이들 7명이 놀고 있었다.

이같은 휴일 보육은 농촌의 특성을 반영해 2008년 하반기부터 자체적으로 시작했으며, 2009년에는 순천시 최초로 휴일 보육기관으로 지정을 받아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성애 원장은 "이곳에 아이를 맡기는 가정은 대부분이 2~3명의 자녀를 두고 있다"며 "그 이유가 전부는 아니겠지만 이곳에 아이를 맡긴 후 둘째, 셋째를 낳는 가정도 상당하다"고 말했다.

추석과 설날을 제외하고는 매일같이 동진(6), 형진(4), 아영(3) 세 자녀 모두를 이곳에 맡기고 있는 이승엽(42ㆍ벌교읍)씨는 "농사일을 하다보면 아내와 함께 일을 해야만하는데 애들을 봐줄 곳이 없어 막막했었다"며 "마음놓고 아이들을 맡길 수 있어서 다행"이라고 말했다.

이씨 부인인 늉(32ㆍ베트남 이주여성)씨도 "이 곳이 없었다면 어떻게 마음놓고 아이들을 낳아 키울 수 있었겠느냐"고 보육 시설에 대한 만족감을 표시했다.

이외에도 다문화가정 8가구, 12명의 아이들이 다니고 있어 매주 목요일은 광주이주민사목센터에서 지원을 받아 다문화가정 엄마들을 대상으로 한글을 가르치는 등 다문화가정에 대한 배려에도 적극적이었다.

이 원장은 "전남 농촌지역에서는 국ㆍ공립 보육시설 확충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아이들이 적은 농촌에서는 타산이 맞지 않아 보육 시설이 없는 곳이 태반이고,결국 아이를 낳아도 마음놓고 맡길 수 있는 곳이 없다보니 큰 도시로 이사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해 결국 농촌인구가 줄어든다"는 것이 그 이유였다.

이는 농어촌 인구 장려를 위해서는 경제적 지원도 중요하지만, 그 보다는 생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아이를 맡길 수 있는 보육시설 등 육아 기반시설 확보가 중요하다는 것을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었다.

전남도에 따르면 지난해 9월말 현재 도내 22개 시군 보육시설은 1132개소로 이곳에서 5만2293명의 아동들이 지내고 있다.

하지만 국공립 보육시설은 21곳에 불과하다. 국공립 보육시설이 한 곳도 없는 지자체는 담양ㆍ곡성ㆍ강진ㆍ해남ㆍ영암ㆍ함평ㆍ영광 등 7곳에 이른다.

박성철기자 scpark@jnilbo.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